본문 바로가기

멋쟁이사자처럼 동아리37

Level 2 Spring MVC HTTP의 요청과 응답에 대한 이해HTTP 요청과 응답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작업을 요청하는 방식이며, 서버는 이를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합니다. 요청은 메서드, URL, 헤더, 본문으로 구성되고, 응답은 상태 코드, 헤더, 본문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명확히 알게 되었습니다.스프링 어노테이션 기반 MVC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어노테이션 기반 MVC 패턴은 매우 직관적이고 강력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어노테이션을 통해 설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코드 가독성도 높아졌습니다. @Controller, @RequestMapping 등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쉽게 정.. 2024. 6. 22.
Level 2 환경설정 스프링 기초 환경설정느낀점: 늘 혼자 자바를 이용하여 개발해 왔지만, 이번 스프링 기초 환경설정을 통해 프론트엔드와의 협업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HTML 파일을 이용하여 프론트엔드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이는 기존의 단독 개발에서 벗어나 팀 단위의 협업을 통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중요한 경험이었습니다. 스프링은 저에게 매우 생소한 프레임워크였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Gradle의 의존성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Gradle을 활용하여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플러그인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빌드와 의존성 관리를 한층 더 편리하게 해주며, 코드 품질과 개발 속도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깨달았습니다... 2024. 6. 22.
7주차. 인증 공통 피드백Git Cherry Pick:브랜치 분기 및 스쿼시 머지.JDBC 브랜치 머지.Cherry pick 사용 권장.Intellij에서 실행 가능.Intellij 순환 참조 보기:Ultimate 버전에서 가능.Time 객체:schema.sql에 "time" 테이블 존재.웹 요청에서도 "time" 파라미터 사용.도메인 네이밍 고민: Time 또는 ReservationTime.도메인을 독립적으로 설계 필요. 인증/인가HTTP의 Stateless:상태 유지 불가, 인증 필요.인증/인가 설명:인증: 사용자 신원 검증.인가: 인증된 사용자 자원 접근 확인.Basic 인증:형식: Authorization: Basic base64({USERNAME}:{PASSWORD}).간단하지만 보안 이슈 존재, HTTPS .. 2024. 6. 22.
6주차 Spring core 공통 피드백DAO vs RepositoryDAO(Data Access Object)와 Repository의 차이점은 역할과 관심사에서 비롯됩니다.DAO: 데이터 영속성 관점에서 DB에 직접 접근하는 객체입니다.Repository: 도메인 개체 모음을 추상화한 객체로, 도메인 관점에서 도메인 객체의 집합을 다룹니다.plaintext코드 복사DAO: 데이터 영속성을 추상화 Repository: 도메인 개체 모음을 추상화DAORepositoryDTO의 역할과 의미DTO(Data Transfer Object)는 계층형 아키텍처에서 의존도를 끊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예시: class Reservation { private final String name; // ex. "Kevin Preston"}​새로운 .. 2024. 6. 22.